스승의 법문8 위빠사나 선정 - 우 빤디따 사야도 경전을 읽다 보면 4선정의 중요성에 대해 붓다께서 거듭 강조하시는 것을 자주 발견하게 된다. 선정 자체가 수행의 최종 목표는 아니지만 위빠사나 수행에서도 집중력이 있어야 사띠가 지속 될 수 있기에 선정력을 계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. 하지만 순수 위빠사나 수행자는 사마타의.. 2014. 10. 29. 행선(行禪)의 효험 - 우 실라난다 사야도 행선(行禪)의 효험 우 실라난다 사야도 지음 우철환 옮김 1. 행선이란 무엇인가 우리 선원(禪院)의 수행자들은 네 가지 자세로 마음챙김[正念] 공부를 합니다. 걸으면서, 서서, 앉아서, 그리고 누운 채로[行․住․坐․臥] 마음챙김을 닦지요. 어떤 자세든 늘 마음챙김 상태를 유지.. 2013. 9. 9. 사띠하는 두 가지 방법 - 우 떼자니야 사야도 사띠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. 하나는 사띠를 두는 것입니다. 이것은 마음이 달아나 있을 때 그 달아난 마음을 한군데에 모으는 것입니다. 그렇게 해서 보는 방법입니다. 또 하나는 질문하면서 조사하는 방법입니다. 이것은 ‘이 몸과 마음에 무엇이 일어나고 있지? 뭘 알고 있지?.. 2013. 7. 1. 바른 마음가짐 - 우 떼자니야 사야도 수행은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, 좋거나 싫은 대상이건 편안한 상태에서 알아차리고 관찰하는 것입니다. 수행은 침착하게 알아차림으로 관찰하며 기다리는 것입니다. 남에게 듣거나 책에서 읽은 현상들을 체험하려는 것이 아닙니다. 지금 이 순간을 알아차리십시오. 과거나 미래에 대한 .. 2012. 10. 26. 이하백도(二河白道) - 대은 스님 이하백도(二河白道) 라는 말이 있다. 인생행로를 비유하는 말이다. 중국 선도대사(善導大師)의 십육관경소석(十六觀經蔬釋)인 산선의(散善義)에서 나온 말인데 그 어원과 뜻을 살펴보자. 옛날에 어떤 사람이 동쪽에서 멀고도 먼 길을 떠나 서쪽으로 향하여 걸어가고 있었다. 도중에 두 하.. 2012. 8. 14. In the Dead of Night - Ajahn Chah 세계적으로 알려진 위빳사나의 큰 스승중 한분이신 아잔 차 스님 아잔 차 스님은 세계의 수많은 수행자들로 부터 사랑과 존경을 받는 위빳사나 스승이시다. 잭 콘필드 (Jack Kornfield)를 비롯한 서양의 많은 스님과 재가법사들이 아잔 차 스님에게 수행을 지도받았다. 비록 수행법은 다르지.. 2012. 8. 4. 고통의 사슬을 끊는 법 - S. N. Goenka 감각이 일어나며 좋고 싫어하는 마음이 시작된다. 지금 빨리 지나가고 있는 이 순간을 우리가 알아차리지 못 한다면 그 과정은 계속해서 반복해가며 우리의 탐욕과 혐오를 강화시키고 결국엔 강한 감정으로 변해서 우리의 의식을 뒤덮어 버릴 것이다. 우리가 이런 강한 감정에 휘말리면 .. 2012. 1. 12. 마음의 상태를 바라보라 - K. Sri Dhammananda 혼자 앉아서 자신의 마음의 상태를 관찰하라. 지금 그대가 해야 할 일은 변하는 마음상태를 바라 보는 것 뿐이다. 마음과 맞서 싸우지 말고 외면하거나 억제하려고도 하지 마라. 그저 단순히 마음을 객관적으로 있는 그대로 바라보라. 마음에서 성욕이 일어나면 성욕이 있음을 그대로 알.. 2012. 1. 11. 이전 1 다음